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연금수리개관
- 연금수리학
- 가입연령방식
- 사외적립자산
- 확률과 통계
- 연금수리
- 일반수학
- 기초율산정
- 계리적손익
- 문제풀이
- 도달연령방식
- 최신연금수리학
- 종합가입보험료방식
- 중급회계
- 계리가치
- 연금채무
- 초기채무동결방식
- 표준부담금
- 종합보험료방식
- 예측단위적립방식
- IFRS 17
- 현재단위적립방식
- 공적연금재정방식
- 연금재정방식이론
- 근로자퇴직여법
- 개인평준보험료방식
- 보험계리사
- 보험수학
- LDI
- 보험수리적손익
- Today
- Total
Ruser
2. Python 자료구조 본문
2. Python 자료구조¶
2-1. 숫자형¶
Python은 수를 다룰때 정수(int)와 실수(float)을 사용한다.
사칙연산¶
- 더하기: a + b
- 빼기: a - b
- 곱하기: a * b
- 나누기: a / b
- 제곱: a ** b
- 나머지: a % b
- 몫: a // b
2-2. 변수¶
Python은 등호(=)를 사용하여 변수값을 할당한다.
- 변수지정: a = 1
- 변수확인: a
변수명¶
Python의 변수명으로는 알파벳 대소문자,숫자,언더바(_), 한글,한자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나 변수의 첫 글자는 숫자로 사용할 수 없고 영어 변수명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덮어쓰기¶
값이 할당된 변수명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면 기존의 값은 사라지고 새로운 값의 변수명이 할당된다.
한번에 변수 값 할당하기¶
- 하나의 값을 두개의 변수에 저장: a = b = 1
- 두개의 값을 두개의 변수에 저장: a, b = 1,2
- 변수값 바꾸기: a, b = b, a
변수삭제¶
- 변수지정: a = 1
- 변수삭제: del a
2-3. 문자¶
문자열은 문자로 이뤄진 자료의 집합이다.
- 예시: '문자로 이뤄진 자료'
문자열 생성¶
문자열 만들기
- 따옴표를 사용하여 문자열 만들기: a = '문자열'
따옴표를 세개(""")연속으로 쓰면 다시 따옴표 세개(""")가 나올 때까지 모든 글자를 문자열로 인식
- 예: """ 나는 생각했다 '이러면 되나?' """
문자열에서 탭또는 줄 바꿈 사용
print('Python\n줄바꿈\n문자열') # 줄바꿈
print('Python\t탭\t문자열') # 탭
문자열 연산¶
더하기기호를 이용하여 문자열끼리 합칠 수 있다.
'1 더하기 1은 ' + '2다.'
곱셈기호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반복할 수 있다.
'ㅋ' * 3
문자열에 원하는 값 대입¶
대입값이 문자열인 경우 %s 사용
'오늘의 날씨는 %s 입니다' % '흐림'
대입값이 숫자형인 경우 %d 사용
'오늘은 %d일 입니다' % 8
한번에 여러 값 대입 가능
'%d일의 날씨는 %s 입니다' % (14, '맑음')
.format() 으로도 값 대입 가능
'오늘은 {}치고는 {}도로 따뜻했다'.format('겨울', 8)
indexing,slicing¶
indexing을 사용하여 자료의 원하는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다.
a = '여러개의 문자열중 원하는 위치 확인'
a[0] # 문자열의 첫 번째 값
indexing시에 마이너스기호는 뒤에서부터 숫자를 센다.
a[-1] # 문자열의 마지막 값
slicing을 사용하여 자료의 위치를 범위로 확인 할 수 있다.
a[0:3] # 문자열의 첫 번째 부터 네 번째 까지의 값
문자열 다루기¶
.join(): 함수 앞에 ',' 을 사용하여 ()안의 값들 사이에 , 를 추가한다.
','.join('abc') # 추가 기준 ,
' and '.join('abc') # 추가 기준 and
.split(): 함수 뒤에 ','을 사용하여 ()안의 값들을 ,를 기준으로 나눈다.
'banana,strawberry'.split(',') # , 를 기준으로 나눔
.strip(): 문자열의 양옆 공백 삭제
' 이런공백 '.strip()
' 사이 공백은 냅둠 '.strip()
.replace(): 문자열내의 특정 글자를 다른 글자로 바꿀 수 있다.
'banana is red'.replace('banana','strawberry')
in: 문자열내에 특정 단어가 포함 되어있으면 true 출력
'is' in 'she is very pretty'
not in: 문자열 내에 특정 단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true 출력
'oh' not in 'she is very pretty'
.count(): 문자열에 특정단어가 몇 번 쓰였는지 확인해준다.
a = 'this is not fruit'
a.count('is')
.index(): 특정단어의 위치를 보여준다.
a.index('i') #중복되는 경우 처음나오는 위치를 보여주는 것 같다.
.capitalize(): 문자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어준다.
'hi'.capitalize()
.lower(): 문자열의 모든 글자를 소문자로 바꾸어준다.
'EVeRy WOrd is ChaNGed TO lOWeR CAse'.lower()
.upper(): 문자열의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어준다.
'EVeRy WOrd is ChaNGed TO uPPEr CAse'.upper()
.startswith(): 문자열이 특정단어로 시작하는지 확인하고 맞으면 true 출력
'good start'.startswith('good')
.endswith(): 문자열이 특정단어로 끝나는지 확인하고 맞으면 true 출력
'good end'.endswith('end')
'Python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자료 구조 (0) | 2019.03.25 |
---|---|
1. 주피터 사용 방법 (0) | 2019.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