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적연금재정방식
- 문제풀이
- 도달연령방식
- 최신연금수리학
- 중급회계
- 보험수학
- 기초율산정
- 연금수리개관
- 연금채무
- 연금수리학
- 계리적손익
- 연금재정방식이론
- 일반수학
- 현재단위적립방식
- 보험계리사
- 계리가치
- 초기채무동결방식
- 연금수리
- 확률과 통계
- LDI
- 근로자퇴직여법
- 보험수리적손익
- IFRS 17
- 종합가입보험료방식
- 가입연령방식
- 표준부담금
- 사외적립자산
- 개인평준보험료방식
- 종합보험료방식
- 예측단위적립방식
- Today
- Total
목록보험계리사 1차 시험 (5)
Ruser
안녕하세요 오늘은 42회 보험계리사 1차시험의 합격자 발표가 있었는데요! 이전에도 각 과목의 공부법에 대한 글을 적은적이 있는데 오늘은 전체적이고 간단하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시험은 1교시와 2교시로 이루어져 있는데 2교시가 제 생각으로는 시험의 당락을 결정하는 것 같습니다. 2교시는 회계와 수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두 과목 모두 빠르고 정확하게 풀어야 해서 시간이 조금 많이 모자랄 수도 있습니다. 1교시 같은 경우에는 법과 경제학원론입니다. 보험계약법은 판례위주로, 업법과 근퇴법은 기출문제로 공부하시면 될 것입니다. 법과목은 반복학습 하시고 최대한 마지막에 공부해서 휘발성을 줄이는게 좋은방법이라 생각합니다. 경제학원론 같은 경우는 시험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인강에서 강의하시는 분이 ..
안녕하세요~ 오늘은 2교시 마지막 과목인 회계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계원리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중급회계와 원가관리회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문제 수 같은 경우는 중급회계가 30문제 정도 출제가되고 원가관리회계가 10문제 가량 출제되고 있습니다. 저는 회계에 대해서 아무 지식이 없었고 차변과 대변에 어떤게 와야하는지도 모르는 아예 백지상태에서 공부를 했었습니다. 그래서 어려움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강의는 미래보험교육원의 이승준 T의 18년도 개념강의만 들었었습니다. 처음 보는 개념과 익숙하지 않은 계정과목 때문에 1차시험 공부하면서 가장 많은 시간을 쏟은 과목이었던 것 같습니다. 먼저 중급회계에서 많은 부분이 출제되기 때문에 중급회계 위주로 공부를 해야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관..
안녕하세요! 오늘은 1차과목 2교시에 해당하는 보험수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다른과목과 마찬가지로 보험수학도 파트가 나뉘어 지게 됩니다. 일반수학, 통계학 그리고 보험수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출제되는 문제 수를 보면 일반수학과 통계학에서 각각 10문제씩 출제되고 보험수학에서 20문제 가량 출제되고 있습니다. 일반수학 같은 경우에는 이과를 나온 학생이라면 자주 보던 기호와 공식을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내용은 다 아는 내용일 것입니다. 로피탈 정리라던지, 미분과 적분의 정의, 극한 등 모두 고등학교 때 공부했던 내용입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이중적분을 구할 때 dx와 dy의 순서를 자유롭게 바꾸고 범위를 정해주고 치환하는 그런 문제들이 조금 어렵게 느껴졌었습니다. 저는 미래보험교육..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험계리사 1차과목 1교시 2번째 과목에 해당하는 경제학원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제학원론은 세부적으로 미시, 거시, 국제학 파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저는 통계학과 학생이라 경제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은 하나도 없었고 학교에서 수업 또한 들은적도 없었습니다. 경제학 문제 같은 경우 미시가 20문제 정도, 거시와 국제파트 합쳐 20문제 정도 출제되고 있습니다. 경제학 같은 경우에는 공부방법이 가장 중요한 과목인 것 같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강의를 듣고 어느정도 진도가 나간다면 그 부분까지는 무슨일이 있더라도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문제가 너무 많다면 홀수나 짝수만이라도 풀어보도록 해야합니다. 저는 나무경영아카데미 김판기 T의 개념강의와 문제풀이 강의를 ..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보험계리사 1차 시험의 1교시에 해당하는 '법' 과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법과목은 제목에서 보시는 것처럼 보험계약법, 보험업법, 근로자 퇴직여법으로 다시 3개의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저는 1월경부터 법과목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단순암기라고 생각했던 과목이었는데 생각보다 이해할 내용들이 많았고 당연히 암기할 내용 또한 만만치 않았습니다. 먼저 문제수를 보면 대략 보험계약법 20문제 / 보험업법 15문제 / 근퇴법 5문제 정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보험계약법 같은 경우에는 법조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필요하지만 절대적으로 판례를 자주 읽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보험계약법 문제가 어렵게 나오면 정말 다 틀릴 수도 있겠구나라고 많이 느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