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개인평준보험료방식
- LDI
- 중급회계
- 공적연금재정방식
- 연금재정방식이론
- 근로자퇴직여법
- 계리적손익
- 보험수리적손익
- 사외적립자산
- 종합보험료방식
- 예측단위적립방식
- 보험수학
- 초기채무동결방식
- 연금수리학
- 기초율산정
- 도달연령방식
- 최신연금수리학
- 연금수리개관
- 연금수리
- IFRS 17
- 확률과 통계
- 문제풀이
- 현재단위적립방식
- 계리가치
- 가입연령방식
- 표준부담금
- 종합가입보험료방식
- 연금채무
- 보험계리사
- 일반수학
- Today
- Total
목록개인평준보험료방식 (2)
Ruser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신연금수리학 7장 문제에서 나오는 종합가입연령방식과 개인평준보험료방식 부분의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저번시간에는 ENT 방식 문제를 풀었었는데, 종합가입연령방식은 개인이 아닌 회사 전체 값, 즉 개인이 가지는 값을 다 더해 산출하면 됩니다. 그 외에는 ENT와 다른게 없어 큰 무리 없으실 겁니다. 그리고 개인평준보험료방식(ILP)은 계약시점의 연령이 아니라 도달연령을 기준으로 NC와 AL을 산출합니다. APV(TB)를 구할 때 현가로 당겨올 경우에 유의하고, APV(S)에서 임금부분을 신경쓴다면 큰 무리 없을 것 입니다. AL은 ENT와 ILP 방식이 같습니다. 미래법과 과거법으로 구하시면 됩니다. 과거법으로 ILP의 AL을 구할 때에는 연금제도 개시 시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마지막..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의 가입연령방식에 이어 개인평준보험료 방식과 예측단위 적립방식, 현재단위 적립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제 가입연령방식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하자면, 표준부담금(NC)를 산출하고 연금채무(AL)를 산출하는 "부담금중심 적립방식"이었습니다. 또한 실제 가입연령과 나이를 고려하지 않고 가상의 나이(a세)에 모두 가입하는 것으로 하였었습니다. 이렇게 하다보니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값들이 산출이 되었습니다. * 개인평준 보험료방식(Individual Level Premium Method : ILP) ILP는 가입자의 개인별 실제연령을 기준으로 수지상등의 원칙을 이용해 NC를 산출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ENT방법과는 달리 가상의 나이를 사용하지 않고 실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