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종합보험료방식
- 사외적립자산
- 초기채무동결방식
- 공적연금재정방식
- 현재단위적립방식
- 표준부담금
- 예측단위적립방식
- 보험수리적손익
- 도달연령방식
- 계리가치
- 연금재정방식이론
- IFRS 17
- 가입연령방식
- 계리적손익
- 문제풀이
- 중급회계
- 보험계리사
- 연금수리학
- 개인평준보험료방식
- 연금수리개관
- 기초율산정
- 연금채무
- 일반수학
- 최신연금수리학
- 종합가입보험료방식
- LDI
- 보험수학
- 근로자퇴직여법
- 확률과 통계
- 연금수리
- Today
- Total
목록보험계리사 2차 시험/연금수리학 (10)
Ruser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신연금수리학 7장 문제에서 나오는 종합가입연령방식과 개인평준보험료방식 부분의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저번시간에는 ENT 방식 문제를 풀었었는데, 종합가입연령방식은 개인이 아닌 회사 전체 값, 즉 개인이 가지는 값을 다 더해 산출하면 됩니다. 그 외에는 ENT와 다른게 없어 큰 무리 없으실 겁니다. 그리고 개인평준보험료방식(ILP)은 계약시점의 연령이 아니라 도달연령을 기준으로 NC와 AL을 산출합니다. APV(TB)를 구할 때 현가로 당겨올 경우에 유의하고, APV(S)에서 임금부분을 신경쓴다면 큰 무리 없을 것 입니다. AL은 ENT와 ILP 방식이 같습니다. 미래법과 과거법으로 구하시면 됩니다. 과거법으로 ILP의 AL을 구할 때에는 연금제도 개시 시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마지막..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신연금수리학에 나오는 7장의 가입연령방식 부분에 대한 문제풀이를 해보았습니다. 질문이나 틀린게 있다면 코멘트 달아주세요. 대부분의 문제들이 NC와 AL을 산출하는 문제였고, 추가적으로 계리적 손익 구하는 문제가 몇문제 있었습니다. 느낌은 주어진 정보만 잘 활용한다면 큰 어려움 없이 풀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10번의 마지막 박스는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므로 외워두시면 좋습니다. 다시한번 그려보겠습니다. APV(NC) APV(TB) = APV(PSB) + APV(FSB) AL UL F 이 표는 아주 중요하므로 잘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APV(NC) + AL = C이고, APV(NC) = APV(FSB)입니다. 따라서 AL은 APV(PSB)와 같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금수리 개관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지금 업로드 하는 순서가 조금 뒤죽박죽입니다. 원래 이 부분부터 먼저 공부를 하셔야 가입연령방식부터 시작해서 계산문제를 쉽게 풀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염금 비교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목적 최소한의 노후생활 보장 기존 생활 유지 여유로운 생활 가입성격 강제 자율 자유 급여 종신 약정기간 DB : 퇴직일시금이 확정 DC : 확정기여금의 적립금 자산운용결과 퇴직급여 변동 공시이율형 (적립금 변동) 지급기간 종신 10년 이상 가입 55세 이후 퇴직시 종신형 또는 확정기간형(5y 이상) 10년 이상 가입 55세 이후 퇴직시 종신형 또는 확정기간형(10y 이상) 재정방식 부분적립방식 완전적립방식 완전적립방식 ..
안녕하세요 오늘은 공적연금 재정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리적 모형에 기초한 정의와 기타 분석들이 많지만 노테이션의 문제로 개념위주의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공적연금 재정은 계속기준에 의해 평가되고 이러한 평가를 통해 연금재정의 장기안정성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세대 간의 형평을 추구하는 것이 재정방식의 기본 목표가 됩니다. 예를들어 국민연금을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겁니다. 사적연금 재정방식은 이산모형에 의해 구축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공적연금제도는 연중 현금 유입. 유출이 빈번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재정특성을 다루는 관계로 연속모형을 주로 사용합니다. * 일반재정모형 : 사적연금의 적립계획은 연간 연금급여가 거의 일정 수준에 도달하여 큰 변도잉 없는 단계에서는 부담금수입과 연기금 투자수익으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목에서 보시는 것처럼 사외적립자산의 FV와 계리가치 및 연금재정방식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공정가치를 정의하자면 합리적인 판단력과 거래의사가 있는 독립된 당사자 사이의 거래에서 자산이 교환되거나 부채가 결제될 수 있는 금액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모든 DB형 연금제도에서 연금채무에 대응하는 연기금자산의 공정가치가 시장가격이 됩니다. 하지만 매번 변화하는 시가의 변화를 적립금의 FV로 적용한다면 재원 적립의 부담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불안전성이 발생하여 퇴직연금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될 경우를 대비하여 시장가격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의 계리가치 산출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단순이동평균 (SMA) 단순이동평균법은 그냥 일반적인 평균을 내듯..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험수리적 손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이부분은 제가 공부하면서 보니깐 보험계리사 1차시험 회계원리 과목의 종업원급여 부분과 대부분이 비슷하다고 느꼈습니다. 혹시나 싶어 예제 문제와 기출문제를 풀어봐도 별 어려움없이 해결할 수 있던 파트라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종업원급여 개요 K-IFRS에서 종업원급여는 종업원이 제공한 근무용역과 교환하거나 해고하면서 기업이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대가를 말하고 아래와 같이 4가지로 분류 하고 있습니다. 1) 단기종업원급여 :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연차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이내 전부 결제될 것으로 예상하는 급여입니다. 2) 퇴직급여 : 퇵직 이후에 지급하는 종업원 급여입니다. 3) 기타장기종업원급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계리적 손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념 위주의 글을 작성한뒤 수리적인 표현과 분석은 노테이션 표기 문제로 차후에 정리해서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계리적 손익 K-IFRS 제 1019호(종업원급여)에서 보면 1) 보험수리적 가정과 실제로 발생한 결과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손익 (경험손익) 2) 보험수리적 가정의 변경으로 인해 생기는 손익 (수정손익) 이라고 정의 되어 있습니다. 1)의 경우에는 일회성으로 발생하는 항목이 아니라 재정평가 시점마다 기시와 기말 사이에 실현된 계산기초 각 요소의 추정 오차에 의해 산출되는 정기적 손익 항목입니다. 2)의 수정손익은 연금수리학에서 계리적 손익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평가시점에서 계산기초 변경으로 연금채무가 변동될..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합보험료방식(AGG), 초기채무동결방식(FIL)과 도달연령방식(AA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종합보험료 방식은 가입자의 개별 NC와 AL를 산정하지 않는 "통합적립방식" 입니다. 연금제도가 시작되면 적립대상자인 가입자에 대해 AL를 언제나 보장할 수 있도록 부담금을 산출해야 하는게 적립방식의 기본적인 목표입니다. AGG는 이 기본적인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한 "부담금 중심 적립방식"으로 가입자 전체에 대하여 통합부담금을 산출하는 "통합적립방식" 입니다. 평가시점에서 가입자의 NC와 AL를 산출하지 않고, 재정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부담금만을 정기적으로 산출합니다. 또한 평가시점마다 임금상승률의 수정이 필요하게 되면 미래 지급될 총 예상급여의 계리현가 또한 이 것을 반영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