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er

최신연금수리학 종합가입연령방식, 개인평준보험료방식(ILP) 문제풀이 본문

보험계리사 2차 시험/연금수리학

최신연금수리학 종합가입연령방식, 개인평준보험료방식(ILP) 문제풀이

알 수 없는 사용자 2019. 6. 29. 22:58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신연금수리학 7장 문제에서 나오는 종합가입연령방식과 개인평준보험료방식 부분의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저번시간에는 ENT 방식 문제를 풀었었는데, 종합가입연령방식은 개인이 아닌 회사 전체 값, 즉 개인이 가지는 값을 다 더해 산출하면 됩니다. 그 외에는 ENT와 다른게 없어 큰 무리 없으실 겁니다. 

 그리고 개인평준보험료방식(ILP)은 계약시점의 연령이 아니라 도달연령을 기준으로 NC와 AL을 산출합니다. APV(TB)를 구할 때 현가로 당겨올 경우에 유의하고, APV(S)에서 임금부분을 신경쓴다면 큰 무리 없을 것 입니다. 

 AL은 ENT와 ILP 방식이 같습니다. 미래법과 과거법으로 구하시면 됩니다. 과거법으로 ILP의 AL을 구할 때에는 연금제도 개시 시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문제를 풀면서 조심해야할 것은 예를들어 2XX2/01/01과 2XX1/12/31을 같다고 보고 풀어야 합니다. 나이나 제도 개시시점이나 모두 같은 기준, 다시말해 기시나 기말로 통일하고 푸시길 추천드립니다. 질문이나 틀린부분이 있다면 댓글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