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계리적손익
- 가입연령방식
- 근로자퇴직여법
- 일반수학
- 확률과 통계
- 종합가입보험료방식
- 연금수리
- 보험수리적손익
- 연금재정방식이론
- 중급회계
- 표준부담금
- 현재단위적립방식
- 최신연금수리학
- 기초율산정
- 예측단위적립방식
- 연금수리개관
- 개인평준보험료방식
- 보험계리사
- 계리가치
- 초기채무동결방식
- 연금수리학
- 공적연금재정방식
- 문제풀이
- 도달연령방식
- LDI
- 연금채무
- 보험수학
- 종합보험료방식
- 사외적립자산
- IFRS 17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사외적립자산 (1)
Ruser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계리가치, 연금재정방식 이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목에서 보시는 것처럼 사외적립자산의 FV와 계리가치 및 연금재정방식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공정가치를 정의하자면 합리적인 판단력과 거래의사가 있는 독립된 당사자 사이의 거래에서 자산이 교환되거나 부채가 결제될 수 있는 금액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모든 DB형 연금제도에서 연금채무에 대응하는 연기금자산의 공정가치가 시장가격이 됩니다. 하지만 매번 변화하는 시가의 변화를 적립금의 FV로 적용한다면 재원 적립의 부담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불안전성이 발생하여 퇴직연금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될 경우를 대비하여 시장가격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의 계리가치 산출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단순이동평균 (SMA) 단순이동평균법은 그냥 일반적인 평균을 내듯..
보험계리사 2차 시험/연금수리학
2019. 6. 5. 2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