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계리가치
- 종합가입보험료방식
- 도달연령방식
- 개인평준보험료방식
- 가입연령방식
- 중급회계
- 연금재정방식이론
- 근로자퇴직여법
- 보험계리사
- 사외적립자산
- 확률과 통계
- 종합보험료방식
- 공적연금재정방식
- 초기채무동결방식
- 현재단위적립방식
- IFRS 17
- 문제풀이
- 예측단위적립방식
- 연금수리
- 연금수리개관
- 일반수학
- LDI
- 보험수리적손익
- 계리적손익
- 보험수학
- 최신연금수리학
- 연금수리학
- 기초율산정
- 표준부담금
- 연금채무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계리적손익 (1)
Ruser
계리적 손익
안녕하세요~ 오늘은 계리적 손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념 위주의 글을 작성한뒤 수리적인 표현과 분석은 노테이션 표기 문제로 차후에 정리해서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계리적 손익 K-IFRS 제 1019호(종업원급여)에서 보면 1) 보험수리적 가정과 실제로 발생한 결과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손익 (경험손익) 2) 보험수리적 가정의 변경으로 인해 생기는 손익 (수정손익) 이라고 정의 되어 있습니다. 1)의 경우에는 일회성으로 발생하는 항목이 아니라 재정평가 시점마다 기시와 기말 사이에 실현된 계산기초 각 요소의 추정 오차에 의해 산출되는 정기적 손익 항목입니다. 2)의 수정손익은 연금수리학에서 계리적 손익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평가시점에서 계산기초 변경으로 연금채무가 변동될..
보험계리사 2차 시험/연금수리학
2019. 6. 3. 2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