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보험수리적손익
- 초기채무동결방식
- 최신연금수리학
- 계리적손익
- 연금수리학
- 사외적립자산
- 종합가입보험료방식
- IFRS 17
- 근로자퇴직여법
- 공적연금재정방식
- 계리가치
- 보험계리사
- 확률과 통계
- 보험수학
- 연금채무
- 연금수리개관
- 개인평준보험료방식
- 연금수리
- 가입연령방식
- 표준부담금
- 일반수학
- 기초율산정
- LDI
- 문제풀이
- 예측단위적립방식
- 연금재정방식이론
- 종합보험료방식
- 현재단위적립방식
- 중급회계
- 도달연령방식
- Today
- Total
Ruser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보험계리사 1차 시험의 1교시에 해당하는 '법' 과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법과목은 제목에서 보시는 것처럼 보험계약법, 보험업법, 근로자 퇴직여법으로 다시 3개의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저는 1월경부터 법과목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단순암기라고 생각했던 과목이었는데 생각보다 이해할 내용들이 많았고 당연히 암기할 내용 또한 만만치 않았습니다. 먼저 문제수를 보면 대략 보험계약법 20문제 / 보험업법 15문제 / 근퇴법 5문제 정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보험계약법 같은 경우에는 법조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필요하지만 절대적으로 판례를 자주 읽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보험계약법 문제가 어렵게 나오면 정말 다 틀릴 수도 있겠구나라고 많이 느꼈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계리사 시험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보험계리사 시험은 금융감독원에서 보험개발원에 위탁하여 시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험은 1차와 2차로 이루어져 있고, 2차까지 최종으로 합격을 한 후 연수원에서 일정기간 연수를 마치게 되면 자격증이 주어지게 됩니다. 그럼 1차시험과 2차시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차시험 1차 시험에는 별다른 자격요건이 없습니다. 하지만 영어시험이 공인영어시험으로 대체되어 보험개발원에 영어성적을 등록하여야 시험을 칠 수 있습니다. 영어시험 대체제도에서 인정하는 시험 종류와 점수는 토플 - PBT : 530점 이상 / CBT : 197점 이상 / IBT : 71점 이상 토익 : 700점 이상 텝스 : 625점 이상(18년 5월 12일 이전 성적..
3. 자료구조¶3-1. 리스트¶리스트(list)는 값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리스트 만들기¶ In [1]: a = ["a","b","c"] # 대괄호안에 값을 넣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a Out[1]: ['a', 'b', 'c'] In [2]: b = [1, 2, 3] # 숫자도 마찬가지 b Out[2]: [1, 2, 3] In [3]: list('abc') # list(): 여러 값들을 리스트 형태로 만들어 준다. Out[3]: ['a', 'b', 'c'] 길이(length) 확인¶ In [4]: len(a) # 변수 a의 길이가 몇인지 (몇개의 값이 들어있는지) 보여준다. Out[4]: 3 인덱싱¶ 리스트의 특정위치의 값을 선택할때 사용한다. 파이썬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In..